자야바르만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야바르만 2세는 앙코르 시대의 기초를 세운 크메르 제국의 건국왕이다. 그는 브라만 의식을 행하는 힌두교 신자였으며, 데바라자 신앙을 확립했다. 790년경 캄보디아로 돌아와 세력을 규합하여 여러 군소국을 정복하고, 802년 프놈쿨렌에서 독립을 선포하며 마헨드라파르바타에 수도를 건설했다. 그는 앙코르 왕조의 시작을 알렸으며, 캄보디아 남동부에서 정복 활동을 시작해 하리하랄라야와 아마렌드라푸라 등지에서 통치했다. 자야바르만 2세의 통치는 캄보디아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유산은 후대 왕들에게 계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첸라 국왕 - 자야바르만 1세
자야바르만 1세는 7세기 후반 크메르를 통치하며 왕국의 권력을 확장했으나, 남자 상속자가 없어 그의 딸 자야데비가 왕위를 이어받아 캄보디아가 분열되었다. - 크메르 국왕 - 자야바르만 7세
12세기 크메르 제국을 통치한 자야바르만 7세는 참파의 침략을 격퇴하고 제국을 재건, 앙코르 톰과 바이욘 사원 건설, 불교 숭상, 병원 및 역참 건설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과도한 토목 공사로 국가 재정을 악화시켰다는 비판도 받는다. - 크메르 국왕 - 수리야바르만 2세
수리야바르만 2세는 1113년 크메르 제국의 왕으로 즉위하여 앙코르 와트를 건설하고 대외 관계를 넓혔으나, 잦은 전쟁과 대규모 건축 사업으로 인해 국내가 피폐해졌으며, 1150년 사망 후 반란이 일어났다. - 9세기 사람 - 브라기 보다손
브라기 보다손은 9세기 스칼드 시인으로, 드로트크베트 운율을 발명하고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등 세 왕의 궁정 시인으로 활동했으며, 《라그나르스드라파》를 주요 작품으로 남겼다. - 9세기 사람 - 웁바
웁바는 9세기 잉글랜드를 침략한 바이킹 군대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이교도 대군세를 이끌고 앵글로색슨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했으며, 중세 전설과 대중문화 작품에서 바이킹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자야바르만 2세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자야바르만 2세 |
로마자 표기 | Jayavarman II |
캄보디아어 표기 | ជ័យវរ្ម័នទី២ |
출생 | 기원전 770년경 |
사망 | 850년 |
사망 장소 | 앙코르, 크메르 제국 (현재의 시엠레아프, 캄보디아) |
통치 | |
칭호 | 크메르 제국의 왕 |
재위 | 802년 – 850년 |
이전 통치자 | 자신 및 제슈타리야 |
후임 통치자 | 자야바르만 3세 |
칭호1 | 하(下) 첸라(물 첸라)의 왕 |
재위1 | 기원전 780년경 – 802년 |
이전 통치자1 | 마히파티바르만 |
후임 통치자1 | 크메르 제국 왕으로서의 자신 |
칭호2 | 상(上) 첸라(땅 첸라)의 왕비 배우자 |
재위2 | 기원전 780년대 |
재위 유형2 | 재임 |
가족 | |
배우자 | 히앙 아므리타, 자옌드라바 |
자녀 | 제슈타리야, 자야바르만 3세 |
종교 | |
종교 | 힌두교 |
2. 생애
브라만 의식을 행하는 독실한 힌두교 신자였던 자야바르만 2세는 데바라자라는 힌두교 의식을 확립하여 후대 왕들에게 계승시켰다. 그는 스스로를 만국의 군주로 칭하며, 현재의 앙코르 유적 남쪽 룰루오스 지역에 하리하랄라야라는 수도를 건립했다. 크메르 제국의 건국왕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직접 남긴 기록은 없어 행적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남아 있는 기록들은 대부분 그의 사후에 쓰여진 것들이다. 귀족 출신으로, 당시 이름은 자야바르만 이비스였다.[1]
781년 인드라푸라에서 왕이 된 그는 캄보디아 통일을 위해 삼부푸라 체나의 여왕 자옌드라바와 결혼하여 삼부푸라의 왕비가 되었다.[8][9]
자야바르만 2세는 캄보디아 역사에서 앙코르 시대의 기초를 세운 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802년 마헨드라파르바타 산(현재 프놈쿨렌)에서 거행한 봉헌 의식을 통해 그는 만왕(크메르어: ''Kamraten jagad ta Raja'') 또는 신왕(크메르어: ''ទេវរាជ'', 산스크리트어: ''Deva Raja'')으로 선포되었다.[17][11] 스독칵톰 사원의 비문에는 그가 브라만인 히라냐다마와 그의 수석 사제인 시바카이발야 경이 거행한 의식에 참여하여 ''차크라바르틴'', 우주의 주인으로 자리매김한 데바라자가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14]
기록에 따르면 자야바르만 2세와 그의 추종자들은 캄보디아 남동부에서 북서부로 이동하면서 여러 군소국들을 정복했다.[17] 그는 롤루오스 근처에 하리하랄라야를 건설했는데, 이곳은 훗날 크메르 제국의 첫 번째 정착지가 되었다.[14] 그는 남동쪽의 비야다푸라를 점령하고 메콩 강을 따라 올라가 삼부푸라를 점령했으며, 꼼퐁 참 근처의 반테이 프레이 노코르에 자리 잡았다.[17] 이후 당렉 산맥을 따라 앙코르 지역에 도착했고, 서쪽의 크메르 지도자들의 저항에 직면하여 프놈쿨렌 정상으로 이동하여 독립을 선포했다.
앙코르 지역에 정착한 후, 톤레삽 호수 바로 북쪽에 위치한 하리하랄라야와 아마렌드라푸라에서 통치했다.[14] 서쪽 바라이 서쪽 끝에 있는 사라진 정착지가 아마렌드라푸라로 추정된다. 자야바르만 2세와 관련된 사원은 없지만, 서쪽 바라이 남쪽 가장자리에 있는 벽돌 계단식 피라미드인 악 욤 건설 가능성이 제기된다.[17]
그에 대한 확실한 사실은 거의 없지만, 귀족 출신으로 캄보디아 남동부에서 정복 활동을 시작했으며, 당시 자야바르만 이비스로 불렸을 것으로 보인다. 한 비문에는 "순수한 왕족의 번영을 위해, 더 이상 줄기가 없는 커다란 연꽃처럼, 그는 새로운 꽃처럼 피어올랐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2] 그는 향 아미타라는 여성과 결혼했고,[13] 남동쪽 로복 스롯에 기초를 봉헌했다.[17]
2. 1. 초기 생애와 배경
자야바르만 2세는 브라만 의식을 행하는 독실한 힌두교 신자였으며, 이는 크메르 제국의 남겨진 유물로부터 추측해 볼 수 있다. 그는 데바라자(devaraja)라는 힌두교 의식을 확립하였으며, 이는 후대의 왕들에게도 계승된다.자야바르만 2세는 자신을 만국의 군주로 자칭하며, 현재의 앙코르 유적 남쪽에 있는 룰루오스 지역에 하리하랄라야라는 수도를 건립하였다.
크메르 제국의 역사에서 건국왕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이 기록을 남기지 않아서 그의 행적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남아 있는 기록들은 대부분 그의 사후에 쓰여진 것들이다. 귀족으로 출생하였으며, 그 당시의 그의 이름은 자야바르만 이비스였다.
2. 2. "자바"에서의 시간
자야바르만 2세는 캄보디아로 돌아오기 전 인도네시아의 사이렌드라스에서 일정 시간을 보낸 것으로 나타나 있다. 후에 사이렌드라스 왕조가 메콩강에서부터 수도까지 크메르를 공격했는데, 따라서 자야바르만 2세는 당시의 공격으로 포로로 잡혀 인도네시아로 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17]비문에 자주 "자바(Java)"로 번역되는 단어는 지속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조르주 코데(George Coedès)와 로렌스 팔머 브릭스(Lawrence Palmer Briggs)와 같은 초기 학자들은 이 단어가 오늘날 인도네시아의 자바 섬을 가리킨다는 견해를 정립했다. 그들의 견해에 따르면 크메르인과 자바인 사이의 전투에 대한 신화적인 이야기는 자바와 수마트라의 스리비자야를 모두 지배했던 샤일렌드라 왕조에 해당한다.
찰스 하이검(Charles Higham)과 같은 후대 학자들은 이 단어가 그 섬을 가리킨다는 데 의문을 제기한다. 마이클 비커리는 이 단어를 크메르인의 동쪽 이웃인 참파를 의미하는 것으로 재해석하여 'chvea'라고 설명했다.[17]
2013년 아를로 그리피스(Arlo Griffiths)는 이러한 이론들을 반박하고 비문에서 자바를 언급하는 거의 모든 경우에 인도네시아 군도의 자바 섬을 가리킨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입증했다.[3]
3. 크메르 제국 건국
자야바르만 2세는 크메르 제국을 건국하고 앙코르 시대를 연 왕으로, 캄보디아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인도네시아의 사이렌드라스 왕조의 간섭에서 벗어나 독립을 선언하고, 여러 소국들을 통합하여 강력한 중앙 집권 국가를 수립하였다.
자야바르만 2세에 대한 확실한 기록은 많지 않지만, 후대에 쓰여진 여러 비문들을 통해 그의 업적을 짐작할 수 있다. 그는 귀족 출신으로, 캄보디아 남동부에서 세력을 키우기 시작했으며, 스스로를 '자야바르만 이비스'라고 칭하기도 했다.[12]
자야바르만 2세는 데바라자 신앙을 확립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힌두교를 국교로 삼아 종교적 통합을 이루었다.
3. 1. 건국의 과정
자야바르만 2세는 캄보디아로 돌아오기 전 인도네시아의 사이렌드라스에서 일정 시간을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 790년경 세력을 규합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작은 공국들을 통합해 인드라푸라에 수도를 정했다.[8] 이후 여러 차례 거점을 옮기다가 현재의 롤루오스 지역인 하리하랄라야로 이동하여 제국의 기초를 쌓았다.[14]802년, 자야바르만 2세는 수도를 앙코르 톰 동북부 마헨드라파르바타로 이전하고, 스스로를 만국의 통치자(차크라바르틴)라고 선언했다. 이는 인도네시아로부터의 독립과 새로운 크메르 제국의 성립을 선언한 것이었다.[14] 이때부터 앙코르 왕조 시대가 시작된다. 스독칵톰 사원의 비문에는 자야바르만 2세가 브라만인 히라냐다마와 그의 수석 사제인 시바카이발야 경이 거행한 의식에 참여하여 그를 ''차크라바르틴'', 우주의 주인으로 자리매김한 데바라자( ទេវរាជាkm)가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14]
자야바르만 2세는 캄보디아 역사에서 앙코르 시대의 기초를 세운 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10] 그는 캄보디아 남동부에서 정복 활동을 시작했으며, 당시에는 자야바르만 이비스로 알려졌을 수도 있다. 그는 삼부푸라 체나의 여왕인 자옌드라바와 결혼하여 캄보디아를 통일하고자 했다.[8]
기록에 따르면 자야바르만 2세와 그의 추종자들은 몇 년에 걸쳐 캄보디아 남동부에서 북서부로 이동하면서 여러 군소국들을 정복했다.[17] 그는 먼저 남동쪽의 비야다푸라 도시를 점령한 다음 메콩 강을 따라 올라가 삼부푸라를 점령했다. 이후 현재 꼼퐁 참 근처에 있는 반테이 프레이 노코르라는 도시 국가에 자리 잡았다.[17] 그곳에서부터 현재 라오스 남부에 있는 도시 국가의 중심지인 와트푸로 진격한 다음 당렉 산맥을 따라 앙코르 지역에 도착했다.
앙코르 지역에 정착한 후 자야바르만 2세는 톤레삽 호수 바로 북쪽에 위치한 하리하랄라야뿐만 아니라 아마렌드라푸라에서도 통치한 것으로 보인다.[14] 일부 역사가들은 그가 서쪽 바라이의 남쪽 가장자리에 있는 악 욤을 건설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한다. 이 사원은 후대 크메르 왕들의 산악 사원 건축 양식의 전신이었다.[17]
3. 2. 데바라자 신앙
자야바르만 2세는 브라만 의식을 행하는 독실한 힌두교 신자였으며, 데바라자(devaraja)라는 힌두교 의식을 확립하여 후대 왕들에게도 계승시켰다.[1] 스독칵톰 사원의 비문에는 마헨드라파르바타에서 자야바르만 2세가 브라만인 히라냐다마와 그의 수석 사제인 시바카이발야 경이 거행한 의식에 참여했고, 그를 ''차크라바르틴'', 우주의 주인으로 자리매김한 데바라자(ទេវរាជា|데와라자km)가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14] 데바라자 숭배는 자야바르만과 그 후의 크메르 사람들의 궁정에서 중요한 종교 의식이었다.[16]4. 통치와 업적
자야바르만 2세는 캄보디아로 돌아오기 전 인도네시아의 사이렌드라스에서 시간을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 메콩강에서부터 수도까지 크메르를 공격했던 사이렌드라스 왕조에 의해 포로로 잡혀 인도네시아로 갔을 가능성이 있다.[1] 790년경 세력을 키워 영토를 넓히고 작은 공국들을 통합하여 인드라푸라에 수도를 정했다.[1] 이후 여러 차례 수도를 옮겼으며, 현재의 롤루오스 지역인 하리하랄라야로 이동하면서 제국의 기반을 다졌다.[1]
802년 자야바르만 2세는 수도를 앙코르 톰 동북부 마헨드라파르바타로 옮기고, 자신을 만국의 통치자로 선언했다.[1] 이는 인도네시아로부터의 독립과 새로운 크메르 제국의 성립을 의미했다.[1] 이때부터 앙코르 왕조 시대가 시작된다.[1]
4. 1. 수도 건설
자야바르만 2세는 캄보디아로 돌아오기 전 인도네시아의 사이렌드라스에서 일정 시간을 보낸 것으로 나타나 있다. 후에 사이렌드라스 왕조가 메콩강에서부터 수도까지 크메르를 공격했는데, 따라서 자야바르만 2세는 당시의 공격으로 포로로 잡혀 인도네시아로 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1] 790년을 전후해서 세력을 규합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작은 공국들을 통합해 인드라푸라에 수도를 정한다.[1] 그 후 여러 차례 거점을 옮기게 되는데, 현재의 롤루오스 지역인 하리하랄라야로 옮겨 오면서 제국의 기초를 쌓는다.[1]802년 자야바르만 2세는 수도를 앙코르 톰의 동북부 마헨드라파르바타로 이전하고, 자신을 만국의 통치자라고 선언한다.[1] 이것은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과 새로운 크메르 제국의 성립을 선언한 것이었다.[1] 이때부터 앙코르 왕조 시대로 접어든다.[1]
5. 역사적 평가와 유산
자야바르만 2세는 850년에 사망했으며[17], 사후 시바 숭배 사상에 따라 "최고 통치자"를 뜻하는 파라메슈와라(Parameshwara)[14]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 뒤 그의 아들 자야바르만 3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인드라바르만 1세는 880년에 롤루오스의 프레아 코 사원을 봉헌하고 자야바르만 2세를 포함한 선왕들과 그 왕비들을 함께 예우했다.
5. 1. 역사적 평가
자야바르만 2세의 통치가 캄보디아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는지, 즉 작은 봉건적인 공국들로부터 독립적이고 통일된 국가를 건설했는지, 아니면 그러한 목표를 향한 장기적인 과정의 일부였는지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비문들은 후대 캄보디아 국왕들이 그를 자신들의 계보에서 존경받는 첫 번째 국왕이자 자신들의 정통성의 근원으로 여겼음을 보여주지만, 힌두 문명은 이미 수세기 동안 이 지역에 존재해 왔다. 자야바르만 2세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 이미 오랜 역사를 가진 중요한 국가들의 국왕 계보가 있었음을 시사한다.[18]5. 2. 유산
자야바르만 2세는 850년에 사망했으며[17], 사후 시바의 칭호인 "최고 통치자"를 뜻하는 파라메슈와라(Parameshwara)[14]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 뒤 그의 아들 자야바르만 3세와 그가 혼인한 가문의 다른 두 왕이 왕위를 계승했다. 그는 인드라바르만 1세가 건설하고 880년에 봉헌된 롤루오스의 프레아 코 사원에서 이 두 왕과 그들의 왕비들과 함께 공식적으로 예우받았다.참조
[1]
서적
Studies In Sanskrit Inscriptions Of Ancient Cambodi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
서적
Trends in Khmer Art Volume 6 of Studies o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Ithaca, N.Y. : Southeast Asia Program, Cornell University, 1989.
1956
[3]
학술지
The Problem of the Ancient Name Java and the Role of Satyavarman in South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around the Turn of the Ninth Century CE
[4]
웹사이트
The Rise of Angkor and the Khmer Empire
https://www.nla.gov.[...]
2024-04-24
[5]
웹사이트
Jayavarman II Cambodian Ruler, Founder of Angkor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24
[6]
학술지
Jayavarman II's Military Power: The Territorial Foundation of the Angkor Empire
www.jstor.org/stable[...]
2020-07-08
[7]
서적
The Civilization of Angko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8]
서적
Lost Goddesses: The Denial of Female Power in Cambodian History
https://books.google[...]
NIAS Press
2008
[9]
학술지
Autonomous Queenship in Cambodia, 1st–9th Centuries AD
https://www.academia[...]
2003
[10]
서적
The Treasures of Angkor
White Star
[11]
서적
Dancing in shadows: Sihanouk, the Khmer Rouge, and the United Nations in Cambod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
2013-02-25
[12]
서적
The Ancient Khmer Empire
[13]
서적
The Story of Angkor
Silkworm Books
2014-12-02
[14]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5]
서적
Early Mainland Southeast Asia
Bangkok: River Books Co., Ltd.
[16]
서적
The Sdak Kok Thom Inscription
[17]
서적
The Civilization of Angkor
London: Weidenfeld & Nicolson
[18]
서적
The Khm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